벌통에서 꺼낸 채 가공하지 아니한 꿀입니다.
천연꿀 생꿀과 농축꿀의 차이
천연꿀과 생꿀은 몸에 좋은 이유는 아주 많은 천연효소와 영양분때문입니다.
이 천연효소와 영양분은 10도의 열을 가하면 10%정도 망가지며, 65도이상의 열처리에는 원래가지고 있던 꿀의효능이 거의 없어집니다.
그런대 많은 양의 꿀을 생산할려고 꿀의 수분이 많을때 채밀한 꿀을 수분이 적게 보이거나 색깔이 이쁘게 보일 수 있게 작업하는 것이 인공농축과정입니다.
이 농축꿀은 현재 백화점이나 마트에서도 쉽게 볼수있으며, 일반적인 꿀 하면 이 농축꿀일 확률이 높습니다.
천연꿀의 영양소는 인공농축 처리된 꿀보다, 영양가가 높습니다.
자세하게는 인공 농축하지 않는 꿀은 효소·유산균등의 유효 성분이 살아 있어 벌꿀이 본래 가지고 있어야 할 맛이나 향기를 즐길 수가 있어 영양소 나 효소를 확실히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살균력과 항균력의 효과도 유지 되어 있고 인공농축한 농축꿀 같은 경우에는 벌꿀의 효능이 없어 진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꽃의 꿀샘에 고이는 꿀은 꿀이 아니라 꽃꿀(Nectar)이라고 부릅니다.
꿀벌들은 부지런히 꽃들을 찾아 다니며 이 꽃꿀을 꿀주머니에 담아 집으로 돌아와 육각형의 꿀벌방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꽃꿀은 꿀벌의 체액과 뒤섞이게 됩니다.
즉, 꽃꿀은 꿀벌에 의해 1차 전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것을 꿀(Honey)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저장된 꿀(Honey)은 벌통 속의 안살림벌(내역봉)에 의해 지속적인 숙성과정을 거칩니다.
안살림벌들은 저장된 꿀을 매일 입으로 되씹고 날개짓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꿀을 농축합니다.
이렇게 수분을 농축하고 숙성과정을 거치고 나면 꿀벌들은 꿀벌방을 밀봉해 식량으로 저장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꽃에서 일일이 채집한 꽃꿀은 진정한 완숙꿀로 탄생하게 됩니다.
꿀벌에 의한 이런 숙성과정을 통해 꽃꿀의 자당은 포도당과 과당으로 전환되고 수분의 농도는 18% 이하로 걸쭉하게 농축되는데 온갖 꽃의 미네날과 효소가 꿀벌의 체액과 뒤섞여 발효, 숙성되어 완숙꿀이 됩니다.
이런 완숙꿀을 전라도 지방에서는 익은꿀 이라고 부릅니다.
완숙꿀은 생산량이 많지 않고 숙성시키는 시일이 오래 걸려 양봉농가에서 기피하고 있으나 최근에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날 벌꿀이 소비자들의 불신을 받게 된 이유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즉, 꽃에서 채집한 꿀이 아니라 흰설탕물을 먹여 채집한 꿀이 대부분으로 사양꿀(설탕꿀)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벌이 날개짓으로 수분을 농축한 꿀이 아니라 농축기로 열을 가해 수분을 농축시킨 꿀은 각종 미네랄과 효소의 함량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진바 있습니다.
웰빙시대에 슈퍼푸드에 대한 관심은 계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있으며 잘 알려져 있는대로 달콤한 벌꿀도 슈퍼푸드중 하나이며 그중 벌꿀을 벌집꿀째로 먹는 방식이 영양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벌은 꿀저장과 육아를 위해서 벌집을 짓는데 황토에 볏짚을 섞어 집을 짓듯 벌은 몸에서 분비하는 밀랍에 프로폴리스를 섞어 넣어서 튼튼한 벌집을 짓은 후 벌집에 꿀과 화분을 저장하여 벌집꿀째로 먹으면 벌꿀, 화분, 프로폴리스, 천연밀랍, 미네랄 등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액상벌꿀은 결정화방지 및 수분조절을 위해 일반적으로 가열농축을 하며 이 과정에서 벌꿀에 있는 좋은 효소들이 일부 파괴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벌집꿀은 가열과정을 거치 않아 살아 있는 생꿀(raw honey)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미네랄과 효소를 거의 온전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최근까지만 해도 국내에서 벌집꿀에 대한 인식은 꿀을 내려서 먹기 위한 ‘원자재의 개념’이 일반적이었으나 해외 양봉선진국에서는 천연밀랍으로 만들어진 벌집꿀을 통째로 먹는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고,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벌집꿀이 고급음식으로 여겨지며 사랑받고 있습니다.
벌꿀(honey)은 꿀벌이 수집하여 꿀주머니에 모아 온 꽃꿀을 벌집에 옮겨 수분을 증발 농축 시키고 효소와 산을 첨가한 후, 밀납으로 밀개하여 저장한 것을 말합니다.